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차량 명의 이전 비용 & 절차 완벽 정리 – 가족 간 이전 시 유의사항까지 (2025 기준)

by 카팁노트장 2025. 7. 5.

자동차 명의 이전,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자동차를 사고팔 때뿐 아니라 가족 간 증여, 차량 선물, 사망 상속 등 다양한 상황에서 자동차 명의 이전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아직도 “복잡할 것 같아서 대행 맡긴다”는 분들이 많죠.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자동차 명의 이전 절차, 비용, 서류까지 직접 처리 가능한 수준으로 정리해드립니다.

명의 이전 가능한 상황

  • 중고차 매매 (개인 간 거래 포함)
  • 가족 간 차량 이전 (증여, 상속 포함)
  • 리스·렌트 종료 후 소유권 이전
  • 법인 → 개인, 개인 → 법인 이전

명의 이전 기본 절차

  1. 이전 대상 차량 확인 (차량번호, 등록증 준비)
  2. 매도·매수자 서류 준비 (신분증 등)
  3. 자동차 등록사업소 방문 or 온라인 신청
  4. 취득세 및 수수료 납부
  5. 명의 변경 등록 완료 (등록증 재발급)

필요 서류

구분 필요 서류
매도인(기존 소유자) 자동차등록증, 신분증, 인감증명서 (또는 서명 확인서)
매수인(새 소유자) 신분증, 자동차보험 가입 증명서, 이전등록 신청서
공통 매매계약서, 위임장(대리인 처리 시), 수수료

2025년 명의 이전 비용

  • 취득세: 차량 가액의 7% (비영업용 승용차 기준)
  • 인지세, 등록 수수료: 약 4~6만 원
  • 자동차세 정산: 남은 세금 또는 과세 대상 조정

가족 간 이전은 일부 세금 감면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지자체별로 적용 여부가 다르므로 확인 필요합니다.

가족 간 차량 이전 시 유의사항

  • 증여로 간주되어 증여세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음
  • 부부/직계존비속 이전 시 일부 면제 또는 감면 가능
  • 증여세 면제 한도는 연간 5천만 원 (직계간), 1천만 원 (기타 친족)
  • 가족이라도 반드시 서류를 명확히 구비하고 이전 신청해야 함

온라인 명의 이전도 가능할까?

네, 일부 지역에서는 자동차민원 대국민포털(www.ecar.go.kr)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 공동인증서 필요
  • 양측 본인 인증 필수
  • 보험 가입 여부 시스템 자동 연계

결론

자동차 명의 이전은 생각보다 간단하지만, 서류 누락, 비용 미납, 보험 미연계 등으로 인해 거부될 수 있으므로 절차를 사전에 꼼꼼히 확인하고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년 기준으로는 온라인 신청도 가능해졌기 때문에 이제는 직접 처리해보는 것도 충분히 가능합니다.